안녕하세요
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스케치업에서 작업하는 대상들은 3D모델입니다.
3D물체는 점, 선, 면과 같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한 모델링을 통해 이런 구성요소들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성요소 선택은 모델편집의 기본이 되는 기능이니 천천히 따라 해 보시면서 연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초 모델 만들기 (정육면체)
우선 정육면체 하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가로 X 세로 X 높이 각각 500 X 500 X 500 짜리 정육면체를 만들겠습니다.
( 치수는 템플릿에 mm로 지정되어 있으니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
'R' 키를 눌러 '사각형 그리기(Rectangle)' 기능을 켭니다.
뷰포트 아래쪽으로 클릭을 한 번 하고 손을 뗍니다. 마우스 움직임에 따라 사각형이 만들어지는 게 보이실 겁니다.
이때 화면 우측하단에 측정( Measurements Box ) 박스를 보시기 바랍니다.
마우스 움직임에 따라 사각형의 치수가 변하고 있을 겁니다.
여기서 그 상태 그대로 키보드로 ' 500,500 '을 입력하시고 엔터를 눌러줍니다.
화면에 500 X 500 정사각형이 그려진 게 보입니다.
방금 사용한 스킬이 사각형을 원하는 치수에 맞게 정확하게 그릴 수 있는 스킬입니다.
이 방법은 사각형뿐만 아니라 원을 그릴 때 원하는 반지름 길이를 입력하거나,
선이나 가이드라인을 원하는 길이로 그릴 때도 활용할 수 있으니 꼭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여기서 잠시, 만들어진 정사각형의 면을 보시면 저와는 다르게 면이 뭔가 어두워 보이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스케치업에서 면은 앞판과 뒤판이 구분되어 있는데, 어두운 부분이 뒤판입니다.
면 방향 뒤집기를 실행하여 면을 뒤집어 주시면 됩니다.
지난번 단축키를 설정하신 분은 면을 한번 클릭한 뒤 '[ shift ] + [ R ]'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단축키 지정을 안 하시는 분들은 이 방법으로 하실 수 있습니다.
1.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퀵메뉴를 엽니다.
2. 면반전(Reverse Faces)을 클릭합니다.
이제 단축키 'P'를 눌러 '밀고 당기기 (Push&Pull)' 기능을 켭니다.
면을 한번 클릭하고 마찬가지로 손을 뗍니다.
마우스를 움직여보시면 움직임에 따라 면이 솟아오르는 것이 보입니다.
여기서 그 상태 그대로 키보드로 ' 500 '을 입력하시고 엔터를 눌러줍니다.
화면에 정사각형이 높이 500만큼 돌출되어 가로 세로 높이 각각 500 X 500 X 500의 정육면체가 되었습니다.
측정박스에 치수를 입력하는 스킬은 이렇게 '밀고 당기기' 기능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이렇게 해서 간단하게 정육면체 모델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따라 해 보시면 크게 어렵진 않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자 그럼 이렇게 만들어진 모델을 편집하기 위해 구성요소들을 선택해 보겠습니다.
● 구성요소 선택하기 (클릭 / 더블클릭 / 트리플클릭)
우선 스페이스바를 눌러 선택기능으로 바꾸어줍니다.
맨 앞쪽 면 하나만 클릭하여 선택해 보겠습니다.
1. 클릭 : 구성요소 한 개만 선택됩니다. (선이나 면)
이제 앞쪽 면에 '더블클릭'을 해보겠습니다.
2. 더블클릭: 해당 면과 주변에 맞닿아 있는 선까지 같이 선택됩니다.
차이가 보이시죠?
더블클릭은 선택한 위치에 있는 구성요소가 한 번에 선택됩니다.
마지막으로 앞쪽 면에 '트리플클릭'을 해보겠습니다.
3. 트리플클릭: 모델의 모든 구성요소가 한 번에 선택됩니다.
마지막으로 트리플클릭은 구성요소 전체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여기까지가 클릭으로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들입니다.
이제 드래그를 하여 선택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구성요소 선택하기 (드래그)
드래그는 마우스를 끌어서 윈도창을 만들어 선택하는 영역선택입니다.
스케치업에서는 좌에서 우로 하는 드래그 / 우에서 좌로 하는 드래그, 드래그하는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기능이 다릅니다.
그럼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좌에서 우 ( → ) 방향 드래그
좌에서 우 방향 드래그는 실선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드래그한 영역 안에 정확하게 들어온 요소만 선택하는 기능입니다.
첫 번째 사각형에서 빨간 영역 안에 들어온 요소가 선 하나뿐이라 선만 선택된 것이고,
두 번째 경우는 빨간 영역 안에 4개의 선과 1개의 면이 들어와 있으니 4 개선과 1 개면만 선택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모델 전체를 영역 안으로 드래그한다면 구성요소 전체가 선택되는 것입니다.
2. 우에서 좌 ( ← ) 방향 드래그
우에서 좌 방향 드래그는 점선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드래그한 영역에 걸리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선택하는 기능입니다.
위 이미지처럼 제가 모델 오른쪽 부분만 드래그를 하게 되면, 영역 안에 걸리는 선들과 면이 전부 선택되는 겁니다.
보통 우측드래그는 트리플클릭처럼 모델 전체구성요소를 빠짐없이 선택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자 이렇게 해서 오늘은 기초모델링을 통해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챕터에는 전에 언급드렸던 그룹과 컴포넌트 두 기능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다음 스킬을 가져올 것을 약속드리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다음 챕터에서 또 뵙길 바라며 지금까지 한영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스케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로 쓰는 스케치업 09 (기본 입체 도형 모델링 하기) (0) | 2025.04.15 |
---|---|
바로 쓰는 스케치업 08 (그룹 OR 컴포넌트 하기) (2) | 2025.04.09 |
바로 쓰는 스케치업 06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 단축키 설정 방법) (2) | 2025.04.01 |
바로 쓰는 스케치업 05 (화면 제어하기) (0) | 2025.03.28 |
바로 쓰는 스케치업 04 (템플릿 사용자화 & 데이터 퍼지)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