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

바로 쓰는 스케치업 12 (회전형 입체도형 만들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따라가기 (FollowMe) 명령어를 활용한 회전형 입체도형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팔로우미'라고 불리는 명령어로 회전형 도형을 만들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이니, 천천히 따라 해 보시면서 숙달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FollowMe (따라가기) 팔로우미 명령어는 큰 도구 세트 중간 즘 Push&Pull 기능 밑에 위치해 있습니다. 명령어에 마우스를 대보면 '선택한 면에서 경로를 따릅니다'라고 설명이 보입니다. (스케치업 한글판 기준 설명입니다.) 이 설명을 풀어 보자면, 팔로우미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하나는 명령을 따라가는 면과, 나머지 하나는 명령을 이끄는.. 2025. 4. 29.
바로 쓰는 스케치업 11 (파일 가져오기 import & 내보내기 export)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외부 파일 가져오는 법과 반대로 내보내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import / export라고 하는 기능인데 실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중요한 기능이니 잘 보고 따라 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파일 가져오기 (import) 파일 가져오기는 메뉴바에서 [파일] -> [가져오기]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가져오기 창이 열립니다. 가져올 수 있는 파일 유형 중에 자주 사용하는 파일 유형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skp 스케치업 파일로 외부 스케치업 파일을 그대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3ds 3d모델링 파일입니다. 스케치업 이외에 다른 프로그램으로 작업된 일반적인 3d파일들을 열 때.. 2025. 4. 21.
바로 쓰는 스케치업 10 (파일 저장 & 출력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스케치업 파일 저장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모델링 편집을 더 나가기 전에 먼저 알아두는 게 좋을 거 같다고 문득 생각이 들더군요. 어렵지 않으니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파일 저장하기 파일 저장 방법은 간단합니다. 메뉴바에서 [파일] -> [저장] (단축키 'Ctrl+S')을 클릭해 저장하거나, 툴바에서 디스크 모양의 저장을 클릭해 저장해도 됩니다. 저는 저장기능은 단축키 (ctrl+s)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작업하다가 잠깐 자리를 비우거나 하게 되면 단축키(ctrl+s)로 저장하는 게 가장 빠르고 편합니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는 스케치업 파일을 사용자 지정 .. 2025. 4. 18.
바로 쓰는 스케치업 09 (기본 입체 도형 모델링 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그리기 도구와 밀고 당기기 (push&pull) 툴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입체 도형을 모델링해보겠습니다. 오늘 챕터는 모델링 작업의 기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축키 사용도 연습해 보시면서 따라 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도형 그리기 먼저 그리기 도구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큰 도구 세트 위쪽에 모여있는 기능들이 그리기에 사용되는 기능들입니다. 하나씩 빠르게 살펴보도록 합시다. 1. 선 그리기 기능으로 단축키는 [ L ]입니다. 뷰포트 어느 곳이든 수평 수직 대각 어디로든 선을 그릴 수가 있습니다. 2. 자유곡선 그리기 기능입니다. 곡선을 그리는 데 사용하는 기능.. 2025. 4. 15.
바로 쓰는 스케치업 08 (그룹 OR 컴포넌트 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오브젝트들을 묶는 방법인 그룹과 컴포넌트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케치업으로 모델링 작업을 하다 보면 굉장히 많은 오브젝트들을 만들게 됩니다. 점점 많아지는 오브젝트들을 각각 제어하기 불편하니 한 번에 묶어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그룹 / 컴포넌트 두 기능의 사용법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그룹 (Group)     간단하게 식탁을 만들어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식탁을 만들기 위해 상판 1개와 다리 4개를 모델링 한 모습입니다. 저는 이제 다리들을 상판과 조립해서 식탁을 만들건대, 다리를 클릭하니 다리 전체가 아닌 구성요소만 선택이 됩니다. 이러면 제가 이동 명령어( M )로.. 2025. 4. 9.
바로 쓰는 스케치업 07 (모델링 기초 + 모델 구성요소 선택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스케치업에서 작업하는 대상들은 3D모델입니다. 3D물체는 점, 선, 면과 같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한 모델링을 통해 이런 구성요소들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성요소 선택은 모델편집의 기본이 되는 기능이니 천천히 따라 해 보시면서 연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초 모델 만들기 (정육면체)  우선 정육면체 하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가로 X 세로 X 높이 각각 500 X 500 X 500  짜리 정육면체를 만들겠습니다. ( 치수는 템플릿에 mm로 지정되어 있으니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    'R' 키를 눌러 '사각형 그리기(Rectangle)' 기능을 켭니다. 뷰포트 아래쪽으로 클.. 2025. 4. 7.
바로 쓰는 스케치업 06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 단축키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와 단축키 지정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스케치업은 툴바들이 워낙 직관적이고 잘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부 외우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조금이라도 작업시간을 단축시키시고 싶으시다면 단축키를 적극 활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파란색 마킹이 칠해져 있는 단축키는 기존 단축키가 아닌 제가 새로 지정한 단축키입니다. 단축키 지정 방법을 참고하시고 추가해 주시길 바랍니다. [주요 단축키 표]기능단축키설명New (새로 만들기)[ Ctrl ] + [ N ]새 파일 불러오기Open (열기) [ Ctrl ] + [ O ] 파일 불러오기Save (저장) [ Ctrl ] + [.. 2025. 4. 1.
바로 쓰는 스케치업 05 (화면 제어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작업화면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저희가 작업하는 화면은 모니터의 2차원 평면화면이죠, 하지만 작업해야 하는 오브젝트들은 3차원 공간입니다. 그래서 저희는 작업할 때 스케치업 화면을 이리저리 돌려보면서 작업을 하게 됩니다.  빙빙 돌려보면서 작은 모델링하는 것도 쉽지 않은데 심지어 큰 건축물을 작업하거나,  실내공간을 여러 곳 살펴보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면 화면제어를 능숙하게 할 줄 아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보시는 분들은 조작법이 익숙지 않아 더 어려우실 수 있으니 보시고 충분히 반복 숙달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그럼 천천히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화면제어   툴바 챕터에서 '큰 도구 세트(Large T.. 2025. 3. 28.
바로 쓰는 스케치업 04 (템플릿 사용자화 & 데이터 퍼지)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지난번 챕터에서 트레이영역 사용법과 주요 트레이들의 기능을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보너스 챕터로 템플릿 사용자화 방법과 데이터 퍼지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보너스 챕터는 스케치업을 사용하시는데 알아두면 유용한 기능들이니 가볍게 참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템플릿 사용자화 & 데이터 퍼지  스케치업을 시작하시면 처음 나오는 화면에서 템플릿을 선택해 실행하게 됩니다. 전에 제가  템플릿을 그림을 그리는 도화지라고 간단하게 설명드렸습니다만, 여기서는 보다 정확하게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그전에 그럼 툴바와 트레이는 무엇에 비유할 수 있을까요? 툴바와 트레이는 그림을 그리는 도구(연필, 붓, 물감 등)라고 비유할 .. 2025. 3. 27.
바로 쓰는 스케치업 03 (트레이 사용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지난번 챕터에서 도구모음에서 툴바를 꺼내 보고 주요 툴바의 기능들도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화면 우측 트레이 영역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트레이 영역 사용하기 메인화면 4번  화면에 우측에 보이는 영역이 바로 트레이 영역입니다. 자주 돼 작업창을 트레이 형태로 추가하고 사용하시면 매번 찾아 사용하지 않아도 돼 편리합니다. 그럼 이제 트레이를 화면에 표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뉴에서 창(Window)을 선택하면 첫 번째로 기본트레이(Default Tray)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기본트레이 탭을 보면 요소 정보, 재질, 컴포넌트, 스타일, 태그, 장면, 그림자 등 트레이로 사용할 수 있는 작업창들이 보입니.. 2025.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