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스케치업 파일 저장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모델링 편집을 더 나가기 전에 먼저 알아두는 게 좋을 거 같다고 문득 생각이 들더군요.
어렵지 않으니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파일 저장하기
파일 저장 방법은 간단합니다.
메뉴바에서 [파일] -> [저장] (단축키 'Ctrl+S')을 클릭해 저장하거나,
툴바에서 디스크 모양의 저장을 클릭해 저장해도 됩니다.
저는 저장기능은 단축키 (ctrl+s)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작업하다가 잠깐 자리를 비우거나 하게 되면 단축키(ctrl+s)로 저장하는 게 가장 빠르고 편합니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는 스케치업 파일을 사용자 지정 위치에 따로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스케치업 파일은 '. skp '라는 확장자명으로 저장되고, '. skb '라는 백업파일도 함께 생성됩니다.
파일이름 칸에 파일 이름을 지정해 주시고, 밑에 파일형식 칸을 열어보면
하위 버전 스케치업에 호환되도록 파일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게 목록이 나타납니다.
'. skb '라는 백업파일은 스케치업 자동저장 기능에 의해 생성되는 파일입니다.
이건 환경설정 창에서 옵션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창(Window) 메뉴에서 환경설정(Preference)을 클릭해 환경설정 창을 열어보면 일반이라는 탭이 보입니다.
클릭하여 보면 백업 만들기, 자동저장에 파란 체크박스가 되어 있고,
간격에 5분이라고 지정되어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자동저장 간격은 사용자 편의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니 원하시는 시간으로 조정하시면 됩니다.
지금 같은 상태에서 밑에 확인을 누르면 스케치업에서 자동으로 5분마다 백업을 하게 됩니다.
자동저장 기능은 파일이 날아간다거나 하는 불상사를 대비하기 위함인데,
사실 저장 간격 5분은 작업을 하시다 보면 짧은 시간이라 느끼실 겁니다.
또 작업을 하면서 파일용량이 점점 늘어나게 되면 자동저장 때 컴퓨터가 잠깐씩 멈추는 현상도 발생합니다.
그래서 저장간격을 늘리고 (ex 30분, 1시간) 작업 중간중간에 직접 저장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파일 출력하기
파일 출력하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시점에서는 파일 출력은 보이는 뷰포트 그대로를 출력하는 것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렌더링을 통한 출력은 추후 렌더링 챕터를 진행하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력은 메뉴바에서 [파일] -> [인쇄] (단축키 'Ctrl+P')을 클릭해 출력하거나,
툴바에서 프린트 모양의 인쇄를 클릭해도 됩니다.
출력 창을 열어보겠습니다.
출력할 프린터를 선택하는 항목이 보입니다.
출력가능하신 기기로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저는 프린터가 없어서 pdf로 지정이 되어 있네요)
밑에 인쇄범위를 보시면 [현재 뷰], [장면] 이렇게 체크할 수 있는 단추가 보입니다.
이건 출력할 범위를 지정하는 기능인데 [현재 뷰]는 말 그대로 현상태 뷰포트를 출력한다는 말이고,
[장면]은 장면 트레이에 생성된 장면을 출력해 주는 겁니다.
옆으로 시작과 끝을 설정하게 되어있는데,
이건 장면중 일부만 출력하거나 전부 다 출력할 수 있는 설정 버튼입니다.
자 이렇게 해서 파일 저장방법과 출력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챕터에는 외부파일 가져오는 방법과 작업파일을 내보내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다음 스킬을 가져올 것을 약속드리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다음 챕터에서 또 뵙길 바라며 지금까지 한영키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스케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로 쓰는 스케치업 12 (회전형 입체도형 만들기) (0) | 2025.04.29 |
---|---|
바로 쓰는 스케치업 11 (파일 가져오기 import & 내보내기 export) (2) | 2025.04.21 |
바로 쓰는 스케치업 09 (기본 입체 도형 모델링 하기) (0) | 2025.04.15 |
바로 쓰는 스케치업 08 (그룹 OR 컴포넌트 하기) (2) | 2025.04.09 |
바로 쓰는 스케치업 07 (모델링 기초 + 모델 구성요소 선택하기) (1)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