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9 바로 쓰는 스케치업 09 (기본 입체 도형 모델링 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그리기 도구와 밀고 당기기 (push&pull) 툴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입체 도형을 모델링해보겠습니다. 오늘 챕터는 모델링 작업의 기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축키 사용도 연습해 보시면서 따라 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도형 그리기 먼저 그리기 도구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큰 도구 세트 위쪽에 모여있는 기능들이 그리기에 사용되는 기능들입니다. 하나씩 빠르게 살펴보도록 합시다. 1. 선 그리기 기능으로 단축키는 [ L ]입니다. 뷰포트 어느 곳이든 수평 수직 대각 어디로든 선을 그릴 수가 있습니다. 2. 자유곡선 그리기 기능입니다. 곡선을 그리는 데 사용하는 기능.. 2025. 4. 15. 바로 쓰는 스케치업 08 (그룹 OR 컴포넌트 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오브젝트들을 묶는 방법인 그룹과 컴포넌트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케치업으로 모델링 작업을 하다 보면 굉장히 많은 오브젝트들을 만들게 됩니다. 점점 많아지는 오브젝트들을 각각 제어하기 불편하니 한 번에 묶어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그룹 / 컴포넌트 두 기능의 사용법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그룹 (Group) 간단하게 식탁을 만들어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식탁을 만들기 위해 상판 1개와 다리 4개를 모델링 한 모습입니다. 저는 이제 다리들을 상판과 조립해서 식탁을 만들건대, 다리를 클릭하니 다리 전체가 아닌 구성요소만 선택이 됩니다. 이러면 제가 이동 명령어( M )로.. 2025. 4. 9. 바로 쓰는 스케치업 07 (모델링 기초 + 모델 구성요소 선택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스케치업에서 작업하는 대상들은 3D모델입니다. 3D물체는 점, 선, 면과 같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한 모델링을 통해 이런 구성요소들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성요소 선택은 모델편집의 기본이 되는 기능이니 천천히 따라 해 보시면서 연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초 모델 만들기 (정육면체) 우선 정육면체 하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가로 X 세로 X 높이 각각 500 X 500 X 500 짜리 정육면체를 만들겠습니다. ( 치수는 템플릿에 mm로 지정되어 있으니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 'R' 키를 눌러 '사각형 그리기(Rectangle)' 기능을 켭니다. 뷰포트 아래쪽으로 클.. 2025. 4. 7. 바로 쓰는 스케치업 06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 단축키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와 단축키 지정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스케치업은 툴바들이 워낙 직관적이고 잘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부 외우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조금이라도 작업시간을 단축시키시고 싶으시다면 단축키를 적극 활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파란색 마킹이 칠해져 있는 단축키는 기존 단축키가 아닌 제가 새로 지정한 단축키입니다. 단축키 지정 방법을 참고하시고 추가해 주시길 바랍니다. [주요 단축키 표]기능단축키설명New (새로 만들기)[ Ctrl ] + [ N ]새 파일 불러오기Open (열기) [ Ctrl ] + [ O ] 파일 불러오기Save (저장) [ Ctrl ] + [.. 2025. 4. 1. 바로 쓰는 스케치업 05 (화면 제어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오늘은 작업화면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저희가 작업하는 화면은 모니터의 2차원 평면화면이죠, 하지만 작업해야 하는 오브젝트들은 3차원 공간입니다. 그래서 저희는 작업할 때 스케치업 화면을 이리저리 돌려보면서 작업을 하게 됩니다. 빙빙 돌려보면서 작은 모델링하는 것도 쉽지 않은데 심지어 큰 건축물을 작업하거나, 실내공간을 여러 곳 살펴보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면 화면제어를 능숙하게 할 줄 아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보시는 분들은 조작법이 익숙지 않아 더 어려우실 수 있으니 보시고 충분히 반복 숙달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그럼 천천히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화면제어 툴바 챕터에서 '큰 도구 세트(Large T.. 2025. 3. 28. 바로 쓰는 스케치업 04 (템플릿 사용자화 & 데이터 퍼지)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지난번 챕터에서 트레이영역 사용법과 주요 트레이들의 기능을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보너스 챕터로 템플릿 사용자화 방법과 데이터 퍼지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보너스 챕터는 스케치업을 사용하시는데 알아두면 유용한 기능들이니 가볍게 참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템플릿 사용자화 & 데이터 퍼지 스케치업을 시작하시면 처음 나오는 화면에서 템플릿을 선택해 실행하게 됩니다. 전에 제가 템플릿을 그림을 그리는 도화지라고 간단하게 설명드렸습니다만, 여기서는 보다 정확하게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그전에 그럼 툴바와 트레이는 무엇에 비유할 수 있을까요? 툴바와 트레이는 그림을 그리는 도구(연필, 붓, 물감 등)라고 비유할 .. 2025. 3. 27. 바로 쓰는 스케치업 03 (트레이 사용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지난번 챕터에서 도구모음에서 툴바를 꺼내 보고 주요 툴바의 기능들도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화면 우측 트레이 영역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트레이 영역 사용하기 메인화면 4번 화면에 우측에 보이는 영역이 바로 트레이 영역입니다. 자주 돼 작업창을 트레이 형태로 추가하고 사용하시면 매번 찾아 사용하지 않아도 돼 편리합니다. 그럼 이제 트레이를 화면에 표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뉴에서 창(Window)을 선택하면 첫 번째로 기본트레이(Default Tray)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기본트레이 탭을 보면 요소 정보, 재질, 컴포넌트, 스타일, 태그, 장면, 그림자 등 트레이로 사용할 수 있는 작업창들이 보입니.. 2025. 3. 26. 바로 쓰는 스케치업 02 (툴바 사용하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지난번 챕터에서 프로그램 시작과 메인 구성화면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주요 툴바에 대해서 어떤 게 있고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도구모음에서 툴바 꺼내기 & 툴바영역에 정리하기 지난번에 2번이라고 마킹된 부분이 툴바라고 설명드렸고, 화면에 보이지 않는 더 많은 툴바들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럼 이제 전체적으로 어떤 툴바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메뉴에서 보기(view)를 선택 한 후 첫번째에 있는 도구모음(Toolbars)을 선택해 줍니다. 도구모음 창을 보시면 굉장히 많은 툴바들이 보입니다. 파란 체크박스를 클릭해 원하는 툴바를 추가해 주시고 닫기를 눌러주시면 툴바.. 2025. 3. 21. 바로 쓰는 스케치업 01 (프로그램 시작 & 인터페이스 맛보기) 안녕하세요한영키의 스킬북, 책주인 한영키입니다. 블로그로 쓰는 첫 번째 글인데 뭐를 써야 되나 고민을 하다가 스케치업 프로그램으로 스킬북을 만들어 보면 재미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프로그램 조작법부터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꿀팁들까지 천천히 정리해 나가 볼 생각입니다. 독학으로 프로그램을 배워보고 싶으신 분들도 천천히 따라서 해보시면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스케치업이라는 프로그램 건축, 토목, 인테리어, 가구, 등등 아주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3D모델링 툴입니다. 모델링을 할 수 있는 툴이야 다른 것들도 많지만 (맥스, 마야, 라이노 등등) 저는 스케치업이 가진 직관적이고 명료한 인터페이스(툴바)를 아주 좋아합니다. 위 사진 화면좌측에 모델링을.. 2025. 3. 20. 이전 1 2 다음